건축학개론님의 댓글
건축학개론 작성일묵상: 나는 타인의 구건을 설계 할수 없다 그러나 그를 위해 기도할수 있다.(기도는 내가 가진 내게 허락된 가장 강력한 무기) 느헤미야는 민족의 죄를 자신의 죄로 고백한다 하나님이 심판하시는 이유를 알았기 때문이다.
1 하가랴의 아들 느헤미야의 말이라 아닥사스다 왕 제이십년 기슬르월에 내가 수산 궁에 있는데
2 내 형제들 가운데 하나인 하나니가 두어 사람과 함께 유다에서 내게 이르렀기로 내가 그 사로잡힘을 면하고 남아 있는 유다와 예루살렘 사람들의 형편을 물은즉
3 그들이 내게 이르되 사로잡힘을 면하고 남아 있는 자들이 그 지방 거기에서 큰 환난을 당하고 능욕을 받으며 예루살렘 성은 허물어지고 성문들은 불탔다 하는지라
4 내가 이 말을 듣고 앉아서 울고 수일 동안 슬퍼하며 하늘의 하나님 앞에 금식하며 기도하여
5 이르되 하늘의 하나님 여호와 크고 두려우신 하나님이여 주를 사랑하고 주의 계명을 지키는 자에게 언약을 지키시며 긍휼을 베푸시는 주여 간구하나이다
6 이제 종이 주의 종들인 이스라엘 자손을 위하여 주야로 기도하오며 우리 이스라엘 자손이 주께 범죄한 죄들을 자복하오니 주는 귀를 기울이시며 눈을 여시사 종의 기도를 들으시옵소서 나와 내 아버지의 집이 범죄하여
7 주를 향하여 크게 악을 행하여 주께서 주의 종 모세에게 명령하신 계명과 율례와 규례를 지키지 아니하였나이다
8 옛적에 주께서 주의 종 모세에게 명령하여 이르시되 만일 너희가 범죄하면 내가 너희를 여러 나라 가운데에 흩을 것이요
9 만일 내게로 돌아와 내 계명을 지켜 행하면 너희 쫓긴 자가 하늘 끝에 있을지라도 내가 거기서부터 그들을 모아 내 이름을 두려고 택한 곳에 돌아오게 하리라 하신 말씀을 이제 청하건대 기억하옵소서
10 이들은 주께서 일찍이 큰 권능과 강한 손으로 구속하신 주의 종들이요 주의 백성이니이다
11 주여 구하오니 귀를 기울이사 종의 기도와 주의 이름을 경외하기를 기뻐하는 종들의 기도를 들으시고 오늘 종이 형통하여 이 사람들 앞에서 은혜를 입게 하옵소서 하였나니 그 때에 내가 왕의 술 관원이 되었느니라
느헤미야는 바사의 왕궁에서 권세와 부귀를 누리던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아닥사스다 왕 곁에서 술 맡은 관원장으로 지내며 제국의 신임을 받았던 자였습니다. 그러나 그의 마음은 권력과 영화가 아니라 무너진 예루살렘을 향해 있었습니다. 하나니로부터 들은 소식, 즉 성벽은 허물어지고 성문은 불탔으며 백성은 능욕을 당하고 있다는 소식은 그의 마음을 무너뜨렸습니다. 그는 수일 동안 앉아 울며 슬퍼하고 금식하며 하나님께 부르짖었습니다(1-4). 이것은 느헤미야 개인의 민족적 동정이 아니었습니다. 그의 기도의 내용은 언약의 하나님을 기억하며, 백성의 죄악을 고백하고, 회복을 간구하는 진실한 회개와 믿음의 표현이었습니다.
느헤미야가 드린 기도에서 우리는 하나님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그는 하나님을 “크고 두려우신 하나님”이라 부르며, 계명을 지키는 자에게 언약을 지키시고 긍휼을 베푸시는 분이라 고백하였습니다(5). 하나님은 만왕의 왕이시며, 동시에 언약을 신실히 지키시는 분이십니다. 느헤미야는 그 하나님을 향해 자신의 민족이 범한 죄를 고백합니다. 그는 민족의 죄를 마치 자기 자신의 죄처럼 끌어안으며, “나와 내 아버지의 집이 범죄하여 주를 향하여 크게 악을 행하였나이다”라고 고백합니다(6-7). 느헤미야의 회개는 남의 잘못을 지적하는 차원이 아니라, 자기 자신과 민족 전체를 하나님 앞에 세우는 철저한 낮아짐이었습니다. 바로 깨닫지 못하면 바로 구할 수 없다는 사실을 그는 알았습니다.
이 기도 속에는 하나님의 약속을 붙잡는 믿음이 드러납니다. 그는 모세를 통해 주신 말씀을 기억합니다. “너희가 만일 범죄하면 내가 너희를 여러 나라 가운데 흩을 것이요 만일 내게로 돌아와 내 계명을 지켜 행하면 너희 쫓긴 자가 하늘 끝에 있을지라도 내가 거기서부터 모아 내 이름을 두려고 택한 곳에 돌아오게 하리라” 하신 말씀을 떠올리며, 그 약속을 근거로 간구합니다(8-9). 느헤미야는 현실의 폐허와 환란을 바라보며 절망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하여 소망을 가졌습니다. 약속을 기억하는 자만이 진정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기도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말씀을 붙잡고 그 약속 위에서 구해야 합니다. 기도는 단순히 내 바람이나 욕망을 관철시키는 것이 아니라, 말씀을 붙들고 하나님의 뜻을 간구하는 것입니다.
느헤미야의 기도에는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정체성이 분명히 드러납니다. 그는 “이들은 주께서 큰 권능과 강한 손으로 구속하신 주의 종들이요 주의 백성이니이다”라고 고백합니다(10). 비록 성벽은 무너졌고 성문은 불탔지만, 하나님의 백성 된 정체성은 무너지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이 구속하신 백성은 상황 속에서 정체성을 잃지 않습니다. 느헤미야는 그 사실을 붙잡고 민족의 회복을 간구합니다. 신앙의 위기는 정체성의 위기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사실을 망각할 때, 우리는 세상과 타협하고 영광을 잃게 됩니다. 그러나 우리는 여전히 하나님의 백성입니다. 주께서 값주고 사신 백성이며, 언약으로 묶으신 하나님의 자녀입니다. 이 정체성을 붙들고 살아갈 때, 비로소 우리는 폐허를 보며 다시 일어설 수 있습니다.
느헤미야는 자신의 직분을 하나님 앞에 드렸습니다. 그는 왕의 곁에서 신임받는 자리에 있었지만, 그 자리를 탐욕이나 안락의 도구로 삼지 않았습니다. 그는 민족의 신앙회복을 위해, 무너진 성읍을 재건하기 위해, 자신의 직분을 헌신의 통로로 삼았습니다. 그는 기도의 마지막에서 이렇게 고백합니다. “오늘 종이 형통하여 이 사람 앞에서 은혜를 입게 하옵소서”라고 기도합니다(11). 왕 앞에 나아가 구해야 할 순간을 앞두고, 그는 먼저 하나님께 무릎 꿇었습니다. 하나님이 주시는 은혜가 아니면 왕 앞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음을 알았기 때문입니다. 세상 권세 앞에 서야 할 때에도, 그는 하나님을 의지하였습니다. 하나님께 은혜를 입는 자만이 사람 앞에서 은혜를 입습니다.
느헤미야의 기도는 단순히 한 시대의 민족적 비극을 해결하려는 탄원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주신 언약의 말씀을 기억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붙들고, 민족의 회복을 간구하는 믿음의 기도였습니다. 그 기도의 바탕 위에서 그는 무너진 성벽을 52일 만에 재건하는 놀라운 역사를 이루었습니다(6:15). 느헤미야의 헌신은 단순한 행정적 성취가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이 다시 말씀 위에 세워지는 영적 회복의 역사였습니다. 그의 리더십은 권력을 위한 것이 아니라, 공동체를 세우는 리더십이었습니다. 그것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동일한 교훈을 줍니다. 교회의 직분은 권세를 누리기 위한 자리가 아니라, 무너진 공동체를 세우고 하나님의 나라를 위해 헌신하는 자리라는 것입니다.
오늘 우리의 현실을 돌아보아야 합니다. 예루살렘 성벽이 무너진 것처럼, 우리의 공동체와 신앙도 무너져 내린 흔적이 많습니다. 예배의 자리가 가볍게 여겨지고, 말씀의 권위가 흔들리며, 교회의 거룩이 세상 앞에서 조롱당하는 현실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때 필요한 것은 느헤미야와 같은 기도입니다. 우리의 죄를 고백하고, 하나님의 약속을 붙들며,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기도입니다. 느헤미야처럼 우리는 민족의 환란과 공동체의 아픔을 외면하지 않고, 그것을 나의 아픔으로 끌어안아야 합니다. 나만의 안락과 부귀를 추구하는 길에서 벗어나, 무너진 공동체를 다시 세우는 길로 나아가야 합니다.
느헤미야의 이름은 “여호와께서 위로하신다”는 뜻입니다. 그는 예루살렘을 위로하셨고, 무너진 백성을 위로하셨습니다. 그러나 그 위로는 눈물만이 아니라, 기도와 회개와 헌신으로 이어졌습니다. 오늘 우리도 동일하게 하나님의 위로를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 위로를 받은 자로서 무너진 교회를 세우고, 공동체를 회복하며, 하나님의 나라를 세워가는 일에 쓰임 받아야 합니다. 지금 내가 서 있는 자리가 아무리 안정되고 풍요롭다 할지라도, 하나님께서 맡기신 공동체와 교회를 위해 헌신하지 않는다면, 그 자리는 허무한 자리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작은 자리일지라도 하나님 앞에 헌신된 자는 느헤미야처럼 역사의 도구로 쓰임 받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오늘도 말씀을 기억하며, 하나님께 기도해야 합니다. 우리의 죄를 고백하고, 하나님의 언약을 붙들며, 공동체의 회복을 간구해야 합니다. 무너진 예루살렘 성벽이 다시 세워진 것처럼, 무너진 교회의 영광도 회복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 회복의 역사를 위해 하나님은 오늘도 하나님의 사람을 준비시키고 계십니다. 느헤미야가 그러했던 것처럼, 우리 역시 하나님 앞에 무릎 꿇고 기도하며, 맡기신 자리에서 헌신함으로 하나님의 나라를 세워가야 합니다.
묵상: 나는 타인의 구건을 설계 할수 없다 그러나 그를 위해 기도할수 있다.(기도는 내가 가진 내게 허락된 가장 강력한 무기) 느헤미야는 민족의 죄를 자신의 죄로 고백한다 하나님이 심판하시는 이유를 알았기 때문이다.
기도는 하나님께서 백성에게 주신 가장 강력한 힘이며 능력입니다. 느헤미야의 삶이 그것을 증거하고 있습니다. 성공적인 삶을 산다는 것이 결코 부귀와 영화를 누리며 사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그리고 하나님 앞에 쓰임받는 삶이 참되고 복된 삶이라는 것을.
샬롬.
깨달은점.---)
하나님의 계획은 어떤 환경이든.
어떤방법이든. 어떤 과정으로든. 이루어집니다.
그것이 하나님의 방법으로. 그리고 하나님의 뜻안에서요.
실천하기---)
내가 누리는 모든 것.
내가 있는 모든 환경. 에 감사로 끝내지않겠습니다. 나의 사명을 위한 기도를 멈추지않겠습니다.
묵상하신 대로 어떤 방법 어떤 과정으로든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집니다. 문제는 우리가 그 방법을 이해 못해서 내 방법을 쓰고, 그 과정을 견디지 못해서 낙심하여 포기하는 것에 있습니다.